목차
테무나 알리에서 사입해 국내에서 판매하는 행위는 "수입 방식"과 "통관 절차"에 따라 합법 또는 불법이 될 수 있다. 반드시 사업자 통관을 통해 관세 및 부가세를 정상적으로 납부하고, 관련 인증(KC 등법)을 준수해야 한다. 초보 N잡러를 위한 단계별 법적 안내와 안전한 사입 노하우를 아래에 가이드 형식으로 풀어보겠다.
1. 사입 판매, 무엇이 문제일까?
직구와 재판매는 다르다. 직접 구매, 즉 직구는 개인 사용 목적일 때 인증 등이 면제되지만, 판매(재판매)는 수입통관과 인증 의무 등이 생기게 된다.
잘못된 통관은 불법으로 목록통관(소액 면제)으로 들어온 물품을 판매하면 밀수 및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
구분 | 인증 필요 | 관세/부가세 | 판매 가능 여부 |
---|---|---|---|
개인직구 | X | 조건부 면제 | X |
사업자수입 | O | 필수 납부 | O |
2. 꼭 지켜야 할 법적 절차
📦 정식 사업자 등록
- 통신판매업 사업자 등록 필수
- 개인 명의 직구로 판매하면 처벌될 수 있음
🚁 일반통관(사업자 통관) 진행
- 관세 및 부가세 반드시 납부
- 목록통관으로 받은 물품은 재판매 금지
📌 KC 등 법정 인증
- 전자제품, 완구, 생활용품 등은 KC 인증 필요
- 인증되지 않은 제품 판매 시 행정처분 위험
3. 판매자의 실전 체크리스트 및 Q&A
📋 실전 체크리스트
- 사업자등록증 보유
- 일반(사업자) 통관 후 관세, 부가세 납부
- KC 등 안전 인증 제품 판매
- 제품 표시사항(성분, 안전센터 등) 정확히 표기
- 판매 계약 및 환불, A/S 정책 준비
👀 실전 Q&A(초보자가 많이 물어보는 질문)
Q. 테무에서 산 제품, 바로 팔아도 문제 없나요?
A. 사업자 통관 + 인증 후만 가능합니다. 목록통관 제품이나 인증 미흡 제품은 불법입니다.
Q. 150달러 미만 제품이니까 관세 없이 팔아도 되나요?
A. '판매'가 목적이면 반드시 사업자 통관, 관세/부가세 납부 필요!
Q. KC 인증이 필요없는 제품이 있나요?
A. 식품, 전자제품, 완구류, 일부 생활용품 등은 의무적. 단, 케이스마다 다르니 관할 기관 확인 필수!
📰 관련 기사 바로가기
4. 글을 마무리하며
테무와 알리에서 사입한 상품을 판매하려면 사업자 등록, 정식 통관 및 관세 납부, KC 인증 등 법적 요건을 반드시 준수해야 안전하다. 법을 어기면 밀수 등으로 형사처벌 받을 수 있으니 꼼꼼히 확인하여야 한다.
N잡러의 첫 사입 판매,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정확한 법적 절차와 인증만 지키면 누구나 안전하게 시작할 수 있다. 성공적인 N잡러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더 알아볼 내용
- KC 인증절차 알아보기
- 초보를 위한 스마트스토어 운영 방법
- 최신 사입 트렌드와 거래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