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ker

6/recent/ticker-posts

2026년 최저시급, 그리고 최근 5년 변화 한 눈에 보기!

목차

  • 1. 2026년 최저임금 고시
  • 2. 2021~2026년 변화 추이
  • 3. 글을 마치며

  • 2026년 대한민국 최저시급과 월급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그리고 2021년부터 현재(2025년)까지 변동 추이를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풀이해보겠다. 최저임금은 우리 생활과 직결되는 중요한 기준! 앞으로의 변화도 꼼꼼히 챙겨보기를 바란다.






    1. 2026년 최저임금 고시

    2026년 확정된 시급은 10,320원으로 월 209시간(주당 휴가수당 포함 주당 40시간)을 기준으로 월급이 2,156,880원으로 환산된다.

    이 계산은 주 1일 쉬는 표준 정규직 고용을 가정하고 한국 노동법에서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직원에게 의무적인 주간 휴일 수당을 포함한다.

    ✔️ 2026년 최저시급 : 10,320원
    ✔️ 월 환산액(209시간 기준) : 2,156,880원
    ✔️ 인상폭 : 전년 대비 290원(2.9%) ↑
    ✔️ 적용 기간 : 2026년 1월 1일 ~ 12월 31일
    ✔️ 업종 구분 없이 전 사업장 동일 적용

    2026년 최저임금 보도자료 바로가기



    2. 2021~2026년 변화 추이

    최저임금 인상 추이
    최저임금 인상 추이

    지난 6년간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은 성장패턴에 큰 변화를 보였는데, 2022년과 2023년에는 매년 5.0%로 가장 급격한 인상률을 보였고, 시급은 2021년 8,720원에서 2023년 9,620원으로 상승하였다.

    2024년 이후에는 2.5%인 9,860원 증가한 후 2025년 1.7% 인상한 10,030원으로 1988년 제도 시작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완만한 인상으로 전환되었다.

    2026년 환율인 10,320원은 2022~2023년의 최고치인 5%에는 여전히 훨씬 못 미치지만 2.9%로 약간 더 높은 성장률로 복귀한 것을 의미한다. 근로자의 월 총소득 기준 최저임금 기준 소득은 2021년 약 182만 원에서 2026년 216만 원으로 증가해 5년간 월 누적 33만 원 이상 증가했다.

    연도 최저시급 월 환산액 (209시간) 전년 대비 인상액 전년 대비 인상률
    2021 8,720원 1,822,480원 130원 1.5%
    2022 9,160원 1,911,440원 440원 5.0%
    2023 9,620원 2,009,780원 460원 5.0%
    2024 9,860원 2,060,740원 240원 2.5%
    2025 10,030원 2,096,270원 170원 1.7%
    2026 10,320원 2,156,880원 290원 2.9%
    🔎 분석 포인트
    - 2024~2026년 인상률이 꾸준히 낮아지는 추세이지만, 2025년에는 드디어 최저시급 1만 원 돌파!
    - 2026년에는 2.9% 인상으로 월 급여도 2,150,000원을 넘어섬
    - 경제 상황, 물가와 사업체 부담을 함께 고려하는 현재 정책 기조가 반영된 결과임
    과거 모든 연도 최저임금 보기



    3. 글을 마치며

    2026년 최저시급과 월급은 10,320원/2,156,880원으로 확정되어 최근 6년 중 가장 안정적인 인상폭을 기록하였다.

    근로자/사업주 모두 경제 및 사회 변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최저임금 정책의 흐름을 꾸준히 체크하는 것이 필수다.

    항상 나의 임금이 최저임금 이상인지 확인하는 것은 내 권리를 지키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최저임금의 해마다의 변화와 앞으로의 추이를 계속 지켜보도록 하자!😊

    📌더 알아볼 내용